프로그램 명
전공융합혁신사업(EUP: Extended University Projects)
정의
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전문성과 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지역혁신 프로그램을 기획, 발굴하고 이를 지역 여러 기관과 협력하고 교류하여 성과를 도출하는 프로젝트
목적 및 필요성
- 대학의 사회적 역할 수행을 통해 사회혁신을 실현하고 궁극적으로 우리 대학교 발전 목표인‘지역공동체에 공헌하는 지식플랫폼’목표달성
- 대학의 혁신을 지역의 혁신으로 유도하여 지역 발전의 중추적 역할 담당
- EUP의 국외 확산을 통해‘세계를 향해 빛을 여는 대학’이념 실현
- 지역 친화적 혁신 인재 육성 및 취·창업 연계
- 지역사회와의 연대를 통해 더불어 발전함으로써 대학과 지역 상생의 선순환 구조 확산
2024학년도 EUP프로그램 운영 계획(안)
- 활동기간: 2024. 4. ~ 2025. 1.(10개월)
- 참가대상: 재학생(대학원생 포함)으로 구성된 40팀 내외 예정
- 추진내용(안)
연번 | 카테고리 | 주요 추진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---|
1 | 계명ESG 활동지원 | E(환경), S(사회), G(협치) 관련 교내외 활동 지원 등 | |
2 | 다문화·취약계층 지원 | 다문화가정, 외국인 근로자, 독거노인 등 지역 내 취약 계층에게 건강 멘토링, 한국어 교육, 심리상담 프로그램, 금융사기 예방 교육, 건강 먹거리 나눔 지원 | |
3 | 초·중·고 교육 지원 | 초·중·고 대상 독서 토론, 글쓰기 지도 등 교육 멘토링 및 전공 체험 프로그램 지원 | |
4 | 인문예술정신 확산을 위한 활동 지원 | 취약계층 아동 음악지도, 다문화 동화책 만들기, 미술 및 인문학적 예술 경험 제공 | |
5 | 지역환경 개선 | 독거노인, 취약계층 대상 주거환경 개선 프로그램, 벽화그리기, 교통약자를 위한 생활 서비스 개선 사업 추진 | |
6 | 자원봉사단 | 재학생으로 구성된 상시 봉사단 |
※ 최종 선발팀 수는 총예산 범위 내에서 신청 프로그램 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, 별도 심사가 진행될 수도 있음
운영방법
- 지원금은 학기별로 대표학생의 EDWARD 시스템에 등록된 계좌로 선지급 후 추후 정산
- 지도교수 및 참가 학생 대상 사전교육을 실시 후 EUP 프로그램 진행 예정
- 지도교수에게는 결과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「교원업적평가 규정」에 따라 봉사업적 인정
- 프로그램 이수자에게는 COMPass K 배점 기준표에 따라 봉사/인성 영역의 장기프로그램
(20시간 또는 2개월 이상) 참여실적으로 역량 점수 10점 부여 - 지도교수는 수시로 활동 상황을 점검하고 지도해야 하며, 결과보고서에 지도의견 기재
- 활동 종료 후 활동 결과 및 참여 소감 공유 등을 위한 EUP 성과보고서 책자 제작 예정
- 프로그램별 활동 종료 후 대구경북사회혁신지원단 행정팀에서 추후 정산 및 사업비 집행